Mirho/생활정보
한우등심 1인분(150g) 5만2000원 받는 고깃집, 납품가격은 1만원
j미르호
2012. 1. 10. 11:09
-
한우값 2년새 40% 내렸는데… 고급식당은 무풍지대
부대비용 올라 남는 것 없다? - "임대료 등 10% 올랐다 해도 가격인상 요인은 4~5% 정도"
프리미엄 식당 납품가는 더 싸 - '최상급' 소문 내려 입찰 경쟁… 중간상인들, 싸게 물건 넘겨직장인 강민석씨는 설맞이 가족 모임을 위해 서울 강남의 유명 한우 전문점을 예약하려다 화들짝 수화기를 내려놓고 말았다. 한우 값이 내려간다기에 식당 고기 가격도 당연히 내려갔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1인분에 5만원이 넘는다는 얘기에 전화를 끊을 수밖에 없었다. 가격이 내리기는커녕 2년 전보다 오히려 10% 이상 올랐기 때문이다.
한우값은 2010년 1월 한우 암소 600㎏ 성우(成牛) 기준 591만1000원에서 지난해 12월 362만9000원(농협·농수산물유통공사 자료)으로 40%나 떨어졌다. 등심 100g 가격도 2010년 1월 7223원에서 지난해 12월 6136원으로 16% 떨어졌다. 하지만 고급 식당 한우 고깃값은 요지부동이다.
한우 값이 오를 때 함께 올렸던 고급식당 고깃값은 2012년 현재 한우 값이 폭락했는데도 전혀 떨어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오른 곳도 있다. 서울 강남 A 식당의 경우 한우 생갈비가 2010년 6만8000원(1인분 180g 기준)에서 지난해 7만8000원으로 껑충 뛰었다. 식당 주인들은 "가장 비싼 최고급 부위만 공급받기 때문에 가격이 비쌀 수밖에 없다"며 "임대료·인건비 등 부대 비용도 상승했기 때문에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었다"고 항변한다. 하지만 본지 취재 결과 한우 공급 원가의 5배나 부풀려 소비자 가격을 책정, 실제 비용에 비해 큰 마진을 챙기는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 강남의 고급 한우식당의 경우 고기 가격의 25~30%가 순수 마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바잉파워 내세운 '수퍼 갑(甲)' 식당들, 소비자들만 바가지
본지는 9일 국내 유명 한우 전문식당에 고기를 납품하는 중도매인을 상대로 식당에 공급하는 원가를 취재했다. 그 결과 1인분(150g)에 5만원이 넘는 1++ 등급 '등심'의 경우 1인분 공급가격은 1만원 내외였다. 납품 가격의 5배나 많은 것이다. 중도매 전문 업자 B씨는 "서울시내 잘 나가는 고깃집은 그야말로 업계의 수퍼 갑(甲)"이라며 "일단 그곳에 물건을 대면 '물건 좋다'는 소문이 나기 때문에 납품업자들이 손해를 보고서라도 그들에게 물건을 대려 한다"고 밝혔다.
납품업자 C씨는 "유명 식당 업주들은 지위를 내세워 납품업자들에게 입찰경쟁(bidding)을 시켜서 좀 더 좋은 부위를 좀 더 싸게 사들인다"고 말했다. 가령 등심 최상등급인 1++ 등급 내에도 등급이 R, S 등으로 세분화돼 있는데, 고급 식당이 최고 부위를 싸게 가져간 뒤에야 다른 식당들이 나머지 부위를 챙긴다는 것이다. 결국 고급식당들은 구매(buying)파워를 내세워 일반 식당보다 더 유리한 원가 구조를 갖고 있으면서도 실제 소비자 가격은 훨씬 높게 책정해 소비자들에게 바가지를 씌우는 셈이다.◇임대료 등 부대 비용 올라도 대형 업체 전체 매출 영향은 크지 않아
'유명 식당들의 경우 상당수 자기 건물에서 영업하는 경우가 많아 임대료 부담은 크지 않으며, 전반적인 임대료가 올라도 상승분을 즉시 반영한다는 것은 가격상승의 빌미일 뿐'이라는 지적이 많다.
국내 프랜차이즈 한우식당을 운영하는 D씨는 "수도·전기료 등은 전체 매출의 1.5%, 임차료는 3.5% 등 인건비를 제외한 제반 비용은 전체 18% 정도"라며 "규모가 크거나 고급 식당같이 매출 규모가 큰 경우 부대 비용이 전년 대비 10% 이상 올랐다고 해도 가격 인상요인은 4~5%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다시 말해 '최근 2년 동안 한우값은 40%나 떨어졌는데도 이는 소비자 가격에 전혀 반영되지 않아 결국 식당측의 과다 이윤 챙기기 아니냐'는 지적을 살 만하다는 얘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