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것에 대한 사랑의 결실, 순천 뿌리깊은나무박물관
- 값을 매기기 보다 민중의 삶을 소중히 여겨 수집한 다양한 유물들
위 치 : 전남 순천시 낙안면 평촌3길
오랜 역사를 간직한 낙안읍성 인근에는 다양한 문화유산을 전시한 순천시립뿌리깊은나무박물관(이하 뿌리깊은나무박물관)이 있다. 2011년 개관한 이곳은 평생 우리 것을 사랑하고 지키고자 한 고 한창기 선생의 열정과 고집이 깃든 공간이다.
- 뿌리깊은나무박물관 입구
뿌리깊은나무박물관을 둘러보려면 한 인물의 삶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1976년 월간 문화 종합지 《뿌리깊은나무》를 창간한 고 한창기 선생이다. 1936년 벌교에서 태어난 그는 유창한 영어 실력과 발군의 세일즈 실력으로 브리태니커 한국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영어와 세일즈라는 무기로 정상에 섰지만, 정작 그는 전통과 문화에 관심이 있었다.
초가집을 없애고 마을 길을 넓히는 새마을운동으로 우리의 옛것이 서서히 파괴되고, 아름다운 청춘들이 독일의 광부와 간호사로 떠나며, 외화 반출이 금지되던 시대다. 선생은 브리태니커백과사전을 팔아 많은 수익을 남겼는데, 영국으로 수익금 대신 편지를 보냈다. 백과사전을 판 수익금으로 한국 전통문화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설득하는 편지다.
판소리다섯마당의 음반과 악보를 남긴 것, 100회에 걸쳐 판소리음악회를 연 것, 잎차와 다기와 반상기를 보급한 것 등이 선생이 시작한 한국 전통문화 사업이다.
- [왼쪽/오른쪽]전시관 입구의 故 한창기 선생의 모습 / 故 한창기 선생의 친필원고
- [왼쪽/오른쪽]뿌리깊은나무 책자 / 샘이깊은물 책자들
한창기 선생이 창간한 잡지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한 뿌리깊은나무박물관은 유물 전시실과 야외 전시 공간, 백경 김무규 선생 고택으로 구성된다. 유물 전시실은 선생이 만든 잡지의 이름을 따 각각 뿌리깊은나무(상설 전시실), 샘이깊은물(기획 전시실), 배움나무(세미나실)로 나뉜다.
전시실에는 유물 800여 점이 전시된다. 선사시대부터 조선 시대의 기와, 옹기, 토기에서 청자, 백자, 불교 의식 용구, 민속용품까지 분야도 다양하다. 문화재급 유물도 있지만, 아직도 온기가 남았을 것 같은 서민 생활용품도 제법 많다.
- [왼쪽/오른쪽]백제시대의 오리모양 토기 / 고구려의 연꽃무늬 수막새
- [왼쪽/오른쪽]청동기시대의 별모양 돌도끼 / 한글과 한자가 병용된 정순왕후 국장반차도
“의미 있는 일이라면 돈을 낙엽처럼 태울 줄도 알아야 한다”던 선생은 평생 홀로 지내면서 문화재를 수집했고, 세상을 떠나기 직전에도 문화재를 보듬었다. 선생이 마지막으로 수집한 문화재는 백자청화 매죽문 필통이라고 한다. 선생은 1997년 간암으로 세상을 떠났고, 유산은 성북동 자택 한 채가 유일했다. 하지만 선생이 평생 수집한 문화재 6500여 점은 이제 우리의 유산이 되었다.
박물관 주변에 멋들어진 한옥 한 채가 있다. 1920년대에 지어진 백경 김무규 선생 고택으로, 전남 구례에서 옮겨왔다. 영화 〈서편제〉에서 주인공 송화가 눈먼 뒤 아버지 유봉과 함께 머무르는 곳으로, 하얀 한복을 입은 이가 사랑채 누마루에 앉아 거문고를 타자 유봉이 구음을 부르는 장면이 이 집에서 촬영되었다. 고택은 전형적인 양반 상류 주택으로 사랑채와 안채, 사당으로 구성되었다.
- 백경 김무규 선생 고택의 사랑채
- 낙안읍성 서남쪽 오르막에서 본 읍성의 전경
- 금둔사에 피기 시작하는 납월홍매
순천만자연생태공원은 자연경관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갯벌과 갈대가 어우러진 생태계의 보고다. 갈대 데크를 따라 용산전망대까지 다녀오는 것은 순천만 여행의 필수 코스이자 순천만에 대한 예의다.
생태 체험선과 갈대 열차도 타보자. 생태 체험선을 타면 순천만의 S자 갯골을 따라 나갔다가 대대선착장으로 돌아오는 왕복 6km 선상 투어를 한다. 갯벌에서 쉬거나 먹이 활동을 하는 노랑부리저어새, 흑두루미, 청둥오리, 가마우지 등 다양한 철새를 만날 수 있다. 물때에 따라 운행하지 않을 수도 있으니 미리 확인해야 한다.
- [왼쪽/오른쪽]순천만 갈대산책로의풍경 / 갯벌에서 쉬거나 먹이활동을 하는 오리류
- [왼쪽/오른쪽]순천문학관의 정채봉관 / 순천문학관에서 되돌아오는 갈대열차
- [왼쪽/오른쪽]화포해변 일출 / 와온해변의 일몰
<당일 여행 코스>
선암사→낙안읍성→점심 식사→뿌리깊은나무박물관→순천만자연생태공원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송광사→점심 식사→선암사→순천전통야생차체험관→금둔사→뿌리깊은나무박물관→저녁 식사와 숙박
둘째 날 / 낙안읍성→순천드라마세트장→점심 식사→순천만자연생태공원→순천문학관→와온해변 해넘이→귀가
<여행 정보>
○ 관련 웹사이트 주소
- 관광순천 http://tour.suncheon.go.kr
- 선암사 www.seonamsa.net, 061)754-5247
- 송광사 www.songgwangsa.org, 061)755-0107
- 낙안읍성 www.nagan.or.kr, 061)749-3347
- 순천만자연생태공원 www.suncheonbay.go.kr, 061)749-4007
○ 문의 전화
- 순천시청 관광진흥과 061)749-4221
- 순천시립뿌리깊은나무박물관 061)749-8855
- 순천드라마세트장 061)749-4003
- 순천문학관 061)749-4392
○ 대중교통 정보
[기차] 용산-순천, KTX 하루 6회(05:20~19:20) 운행, 약 3시간 10분 소요.
순천역 앞에서 61번(하루 5회), 63번(하루 10회), 68번(하루 9회) 버스 이용, 낙안읍성에서 하차.
* 문의 : 코레일 1544-7788, www.korail.com 순천역 061)744-3172
[버스] 서울-순천, 우등고속 하루 19회(06:10~20:50) 운행, 약 3시간 45분 소요.
대전-순천, 하루 4회(10:10~18:20) 운행, 약 2시간 30분 소요.
동대구-순천, 하루 4회(07:30~19:30) 운행, 약 3시간 소요.
부산-순천, 하루 8회(07:00∼22:00) 운행, 약 2시간 30분 소요.
순천종합버스터미널에서 61번(하루 5회), 63번(하루 10회), 68번(하루 9회) 버스 이용, 낙안읍성에서 하차.
* 문의 : 센트럴시티터미널 02)6282-0114, www.centralcityseoul.co.kr 대전복합터미널 1577-2259, www.djbusterminal.co.kr 대구터미널 070-8224-2222, www.usquare.co.kr 부산고속버스터미널 1577-9956 순천종합버스터미널 1666-6563
[비행기] 김포-여수, 하루 8회(06:40~18:05) 운항, 1시간 소요.
* 문의 : 한국공항공사 1661-2626, www.airport.co.kr
○ 자가운전 정보
호남고속도로 승주 IC→승주 방면 우회전→서평삼거리에서 낙안읍성 방면 857번 지방도로 우회전, 약 20km 직진→낙안읍성 주차장→뿌리깊은나무박물관
○ 숙박 정보
- 밀라노모텔 : 순천시 장선배기2길, 061)723-4207 (굿스테이)
- 에코그라드호텔 : 순천시 백강로, 061)811-0000, www.hotelecograd.com
- 순천전통야생차체험관 : 승주읍 선암사길, 061)749-4202, www.scwtea.com
- 낙안민속자연휴양림 : 낙안면 민속마을길, 061)754-4400, www.huyang.go.kr
- 순천자연휴양림 : 서면 청소년수련원길, 061)749-4070, http://huyang.sc.go.kr
○ 식당 정보
- 전주산들청국장 : 청국장, 순천시 팔마2길, 061)725-6447
- 길상식당 : 산채정식, 송광면 송광사안길, 061)755-2173
- 대원식당 : 한정식, 순천시 장천2길, 061)744-3582
- 전망대가든 : 짱뚱어탕, 별량면 일출길, 061)742-9496
- 진일기사식당 : 김치찌개백반, 승주읍 선암사길, 061)754-5320
○ 주변 볼거리
송광사, 선암사, 순천왜성, 고인돌공원, 주암호, 상사호, 정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