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석산과 작성산은 한남정맥에서 가지 쳐 나온 꽤 뚜렷한 산줄기에 자리 잡고 있다. 두 산은 바위가 별로 없는 흙산으로 부드럽고 숲이 우거져 있다. 또 여러 가지 이야기가 얽힌 산이어서 은발의 산행에 알맞고 겨울 산행에 특히 좋다.
은석산과 작성산 산행의 멋은 산길에 있다. 소나무가 거의 없고 참나무 등 활엽수 숲이어서 가을과 겨울에는 산길에 낙엽이 두텁게 깔린다. 그래서 푹신하고 빠삭빠삭 소리도 정겨워 걷는 재미가 유별나다.
- ▲ 은석사 골짜기의 명소,낙엽 깔린 널찍한 너럭바위.
-
은석산은 여름에도 좋다. 은석사 들머리 은지리에서 은석사로 들어가는 긴 골짜기의 개울이 아름답고 물도 제법 많다. 온 산이 거의 흙산인데도 은석골의 개울은 바위와 돌로 이루어져 있어 물이 맑고 시원하며 경관도 좋다. 여기 개울가에 넓은 너럭바위도 잘 알려진 명소다.
- ▲ 은석사 삼성각이 보인다.
-
작성산은 버드우드 골프장을 오른편으로 싸고 도는 긴 등성이 숲속 길이 편안하고 호젓하다. 은석산과 작성산은 높이와 모양이 비슷한 산으로 서로 이웃해 있어 어느 한 산만을 산행하기에는 너무 싱겁다. 그래서 두 산을 모두 오르는 것이 좋다. 두 산이 한 줄기에 이웃해 있지만, 두 산 사이에 있는 개목고개가 매우 낮아서 산행을 이으려면 한 산을 다 내려간 뒤 새 채비로 다음 산을 올라야 한다. 천안시 자료에는 은석산이 대순 같이 수려하고 수석이 아름다우며 산 정상에 기우제 제단이 있다고 써 있다.
은석산은 옛절 은석사가 있고, 영성군 박문수 어사의 묘가 있는 산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영성군 박문수는 훌륭한 어사였을 뿐만 아니라 지리에도 밝았다. 그 밝은 풍수지리 지식을 살려 자신의 신후지지(身後之地·죽기 전에 미리 잡아둔 묏자리)를 은석산으로 정했던 것이다. 벗처럼 여긴 영성군이 66세로 죽자 영조는 정승으로 임명하지 못한 것을 안타까워 했다 한다.
은석산에는 불개미가 많다. 불개미는 소나무 잣나무를 망치는 송충이의 천적이다. 영성군 묘가 있는 은석산의 소나무를 송충이가 지키고 있는 셈이다. 영성군이 어사 시절 억울하게 죽게 된 사람을 살려준 일이 여러 차례 있었다. 그 은혜를 입은 사람들이 은석산의 불개미가 되어 송충이를 잡아 박 어사에게 보은하는 것이라 한다. 은석산의 불개미를 다른 산에 옮기면 살지 못한다고 한다.
은석사와 영성군 묘로 들어가는 은석골 들머리에 영성군의 사당과 충헌공 박문수 유물관이 있다. 충헌공은 영성군의 시호다. 유물관에는 보물 제1189호로 지정된 영성군 영정이 있다 한다.
- ▲ 1 개목고개에서 안내 표지판을 보고 있다. 2 영성군 박문수 사당. 3 본인이 골라 놓고 거기에 묻힌 영성군 묘.
-
은석사는 영성군 묘소 아래 꽤 높은 곳에 자리 잡고 있다. 신라 문무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한 절로 알려져 있다. 여러 차례 불에 탔다고 한다. 절을 새로 짓는 중이어서 지금은 아무 것도 볼 것이 없다. 법당의 목불이 지방문화재라 한다. 왼편 언덕 위의 삼성각만이 옛 모습이다. 병천쪽에 찻길이 터져 있다.
은석산과 작성산 사이 잘록이를 개목고개라 한다. 옛날 근처에 사는 어느 농민이 장에 다녀오다 술이 취해 개목고개에서 잠이 들었다. 마침 그 때 산불이 나서 타죽게 된 것을 따라온 개가 몸에 물을 묻혀와 딩굴면서 주인을 살렸다. 그러나 개는 죽고 말았다. 사람들은 그 고개를 개목고개라 불렀으며 의구비도 세웠다고 한다. 그러나 우리는 의구비는 보지 못했다.
-
신증동국여지승람 목천현편 산천조에 작성산은 있으나 은석산은 나와 있지 않다. 불우조에는 은석사가 작성산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분명하게 밝혀 두어야 할 것이 있다. 천안시의 자료나 은석사 스님은 은석산의 이름이 은 은(銀) 자를 쓴 은석산(銀石山)이라 하고 있다. 그러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은혜 은(恩)자를 쓰고 있다. 은석사 스님은 은석산에 돌이 많고 돌을 깨면 속이 하얗다고 해서 은 은자를 쓴다고 했으나 믿을 수는 없었다.
하나 더 밝혀야 할 것은 신증동국여지승람 목천현편 성지조에 작성산에 성터가 있다고 적혀 있다. 산행하며 작성산에서 분명한 성터를 보았다. 천안시의 자료에도 없고, 그 누구도 작성산의 성터를 아는 이가 없다.
-
은지에서 시작, 매성리에서 끝낸 산행
대전 한별산악회(회장 이재선) 회원 12명이 은석산~작성산 산행에 나섰다. 안개가 끼어 조망은 흐렸으나 쌀쌀한 날씨여서 산행하기에는 좋은 날이었다. 우리의 차는 크지 않아 영성군 사당 앞까지 들어갈 수 있었다. 사당 한 쪽은 살림집으로 쓰고 있었고, 유물관은 굳게 잠겨 있어 보물인 영성군 영정을 구경하지 못했다.
사당에서 시작한 작은 길은 연못을 지나 골짜기로 이어졌다. 골짜기 길은 계속 개울을 따라 올라간다. 산비탈에 바위는 없으나 개울은 바위와 돌바닥이어서 물은 맑고 보기도 좋았다. 여름에는 많은 사람들을 불러들일 것이다.
- ▲ 먹음직스러운 병천의 순대. / 작성산에서 마침 나타난 개와 함께 찍은 기념사진.
-
잘 알려진 너럭바위는 개울 왼편에 있다. 흰 너럭바위를 낙엽이 덮고 있었다. 30분 넘게 걸어서 은석사에 닿았다. 새로 법당을 짓노라 넓은 터가 온통 파헤쳐져 있었다. 산길은 절터 왼편 삼성각 아래로 나있다. 영성군 묘소까지는 절에서 채 10분이 걸리지 않았다. 지리를 알지 못하지만 묘 자리가 좋아 보였다. 묘 양편에 칼을 짚고 선 무인석이 무섭게 보였다.
은석산의 고스락은 묘소에서 멀지 않다. 고스락에는 표석과 삼각점이 있다. 건너에 작성산이 가까이 보인다. 길은 넓고 낙엽은 두텁게 깔려 푹신푹신했으며, 빠삭빠삭 낙엽 밟는 소리가 우리와 함께 간다. 개목고개로 내려가는 심한 비탈에는 줄도 매어 있다.
개목고개에 내려서서 의구비가 어디 있나 두리번거리고 있는데 난데 없이 흰 개 두 마리가 나타났다. 개목고개에서 개를 보니 묘한 생각이 들었다. 개는 우리와 앞서거니 뒤서거니 동행을 했다. 개목고개에서 작성산 고스락은 35분쯤 걸렸다. 고스락은 헬기장으로 되어 있고, 통신중계탑이 있으며, 한쪽에 잔돌탑이 있다.
- ▲ 매성리 버드우드 골프장에서 본 작성산 전경.
-
기분 좋은 낙엽 길은 여기에도 이어졌다. 거의 평탄하게 이어지던 등성이가 이상했다. 석축도 있었고 분명 일부러 만든 홈과 흙을 끌어 모아 만든 듯한 일정한 뚝 모양이 한참 이어졌다. 성터가 분명했다. 성터 근처에서부터 나무 사이로 오른편 산 아래에 골프장의 새파랗고 둥근 모양의 잔디밭이 많이 보였다.
성터 끝머리 부근은 산줄기가 갈라지는 곳으로 둥글게 된 얕은 봉우리였다. 우리는 봉암산쪽으로 가다가 작성산과 봉암산 사이 잘록이 고개에서 왼편 매송리로 하산할 예정이었다. 차도 매송리에서 기다리게 했다. 그러나 봉암산쪽으로 이어진 등성이에 길이 보이지 않았다. 오른쪽으로 갈라져 나간 등성이에 좋은 길이 보였고, 그 길쪽에 ‘버드우드’라는 안내 깃이 나무에 매달려 있었다. 지도를 살펴보니 매송리(북면)가 아니라 매성리(병천면)쪽이었다.
우리는 당초의 계획을 바꿔 매성리쪽 좋은 길로 들어섰다. 길은 손질이 되어 있었고, 가파른 곳에는 밧줄도 있었다. 길에 낙엽은 여전히 두터웠다. 비탈진 곳을 다 내려와 자리 좋은 곳에서 점심을 먹었다. 점심 뒤에 얼마 되지 않아 골프장 주차장에 내려서서 산행을 끝냈다. 알고 보니 골프장 이름이 버드우드였다. 골프장에서 올려다 보니 작성산의 양팔이 넓은 골프장을 껴안고 있는 형국으로 보기 좋았다. 모두 3시간30분이 걸린 기분 좋은 산행이었다.
골프장 들머리에서 매송리에서 돌아온 차를 타고 나오다 병천에서 그 유명한 순대와 소주로 뒤풀이를 했다. 병천에는 한 집 걸러 큰 순대집이 있다.
산행길잡이
은석산과 작성산을 잇고 영성군 사당과 유물전시관, 은석사, 영성군 묘, 개목고개, 작성산 고스락을 보려면 오직 한 길밖에 없다. 은지리~영성군 유물전시관(영성군 사당)~너럭바위~은석사~영성군 묘~은석산 고스락~개목고개~작성산 고스락~버드우드 골프장 들머리(매성리 노인회관). 또는 이 코스를 거꾸로 도는 것이다.
중간에 매송리~개목고개,병천리~은석사(찻길),병천리~개목고개 길이 있으나 영성군 묘와 은석사를 볼 수 없거나 먼 길이어서 좋지 않다.
-
교통
천안시 목천읍(목천면사무소) 또는 병천리(병천면 사무소)로 찾아가야 한다. 천안시와 독립기념관 앞 목천~병천을 21번 국도가 잇고 있기 때문에 목천IC에서 고속도로를 빠져나와 21번 국도에 들어서야 한다.
영성군(박문수) 사당, 묘, 은석사로 가려면 21번 국도로 병천 방면으로가다가 상동리(북면)에서 길가에 있는 박문수 묘 표지를 보고 좌회전하여 2번 지방도를 따라 들어가면 바로 사당이 있는 은지리에 이른다. 버드우드 골프장이 있는 매성리는 병천에서 6번 지방도를 타면 바로 나선다.
천안의 대중교통은 연계노선으로 되어 있다. 천안에서 시내버스를 타면 독립기념관에서 바꿔타야 한다. 독립기념관 정류장에서 460번, 461번 병천행(15~20분 간격)을 타고 가다 상동리(북면)에서 내려 은지리로 걸어 들어가야 한다.
버드우드 골프장이 있는 매성리는 병천에서 1시간 간격으로 있는 봉항리 행 마을버스를 타고 가다 내리면 된다.
-